매일 클리어
서울시 김포구? 본문
김포, 이제 서울이다?
여당이 경기도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 김포를 비롯해 구리, 광명, 고양 등 인근 도시의 향후 편입 가능성도 시사했는데요. 서울을 ‘메가시티’로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부동산 시장 빅 이슈
행정구역 변경은 부동산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해당 구역의 부동산 개발 가능성을 높이고, 교육·보건·행정시설 등의 인프라를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김포의 서울 편입이 현실화한다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도 엄청날 전망입니다.
편입, 이거 맞아?
한편으론, 이번 편입안을 두고 비판도 거셉니다. 야당은 김포시의 서울시 편입 발표가 뜬금없다며 행정구역 개편은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는데요. 총선을 앞두고 나온 선거 전략이 아니냐는 시선도 쏟아집니다.
여당이 김포시를 서울에 편입하는 방안을 추진
서울, 김포를 포함하는 메가시티로?
지난달 30일,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는 경기도 김포시의 서울특별시 편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다음날에는 ‘김포시 서울 편입’을 당론으로 정하고 특별법을 발의할 예정이라 밝히며 논의에 속도를 붙였죠.
여당은 김포시의 면적이 넓고 서부에 바다를 끼고 있는 점도 이점이라며 김포시를 고른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김포시의 해외무역·외국인 투자·관광 등의 인프라를 서울시 자원으로 활용하겠다는 것도 한 축입니다.
김포와 더불어 구리, 광명, 고양, 하남 등 서울 인근 도시까지 서울의 영역을 확대하는 ‘메가시티 서울’ 논의도 거론됩니다. 메가시티는 기존 대도시가 주변 소도시를 편입해 광역화하는 것인데요. 서울의 면적과 인구수를 확장해 오사카·파리·베이징 등과 같은 세계적인 도시로 성장할 기회라는 것이 여당의 주장입니다.
다만, 김포시의 서울 편입이 실제로 이뤄질지는 장담하기 힘듭니다. 행정구역 변경을 위해선 김포시 주민들의 의견 수렴 및 주민투표, 국회 통과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다수당인 야당의 반대 또한 걸림돌이죠.
김포의 부동산 시장도 들썩이는데요.
수도권 부동산 시장, 어떻게 변할까?
최근 주택 건설 시장 침체로 2~3년 뒤 공급 대란이 발생할 거란 우려의 목소리가 들립니다. 지난 1~9월 전국의 주택 착공·인허가·준공 물량이 모두 작년보다 감소했는데요. 특히 서울의 아파트 착공이 급감했습니다. 지난 9월, 공사를 시작한 서울 아파트는 10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97.4% 떨어졌습니다.
김포를 서울에 편입하면 이런 서울의 주택공급 부족과 주택 가격 상승 문제를 잠재울 수 있다는 시각이 존재합니다. '한강신도시'인 김포에 교통환경 등 인프라가 갖춰지면 인구가 분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죠.
김포 부동산 시장은 서울 편입으로 가격이 상승할 것이란 기대에 들썩입니다. 지난달 31일, 부동산 실거래 애플리케이션에 김포시 고촌읍 등이 실시간 검색어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부동산 커뮤니티에서도 김포 아파트의 가격 상승 기대를 나타내는 글이 왕왕 나타났는데요.
다만, 아직 실현 가능성이 낮은 만큼 부동산 시장에 끼칠 영향도 제한적일 수 있다는 평가도 공존합니다. 최종결정이 나오기 전까진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같은 맥락입니다.
김포 편입론, 반응은?
편입에 대한 김포 주민들의 여론은 대체로 긍정적인데요. 서울로 출퇴근하는 주민들이 많기 때문에 서울시 예산을 통한 교통 및 기반 시설 등 인프라 개선이 특히 기대를 모읍니다.
반면, '메가시티 서울'이 시대에 역행하는 정책이라는 반발도 나옵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SNS를 통해 "메가시티가 된 서울을 더욱 비대화하고 수도권 집중 심화만 초래하는 서울 확대 정책"이라며 이번 편입안이 오히려 지역균형발전을 저해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도 김포의 편입을 두고 총선을 위한 포퓰리즘적 정책이라며 비판했습니다. 또한 국토 전체 행정체계를 놓고 보아야 할 문제를 김포의 편입 여부에만 집중하며 지역 이기주의를 부추긴다고 덧붙였습니다.
메가시티
인구가 1,000만 명을 넘는 초거대 도시로, 우리나라에선 여러 개의 도시가 연합한 거대 도시연합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포퓰리즘
포퓰리즘(Populism)은 원래 대중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정치 형태를 뜻하는데요. 정치인들이 대중의 인기를 얻기 위해 제시하는 무리한 정책을 비판하기 위한 수사로 종종 사용되기도 합니다.